논리

언어/JavaScript Deepdive

4장 : 연산자

연산자 연산자: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새로운 값을 만드는 역할 연산의 대상: 피연산자(값으로 표현될 수 있는 표현식) 연산자 종류 :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산술 연산자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들며 불가능한경우 NaN을 반환 이항 산술 연산자 ( +, -, *, /, % ) 2개의 피연산자 사용. 부수효과 X(피연산자의 값이 바뀌지 않고 언제나 새로운 값을 만듦) 부수효과 : 피연산자의 값(Value)에도 영향을 주는 효과 종류: +, -, *, /, % 단항 산술 연산자 ( ++, -- / +, - ) 1개의 피연산자 사용. 부수효과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음 종류 ++, --(이 둘은 부수효과 O --> 피연산자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 암묵적 할당 ++,-- 안티패턴 --> ..

수학/이산수학

명제

명제(Proposition) 객관적인 기준으로 진릿값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식 : 영어 소문자 p,q,r... 로 표현 진릿값(Truth value) 참(true: T / 1)이나 거짓(false: F / 0)을 가리키는 값 부정(NOT : ¬p) 문장 p가 명제일 때 "p가 아니다"를 의미. p의 기존 진릿값과 반대의 진릿값을 갖는 명제. p ¬p T F F T 논리곱(AND : p∧q, p & q) p, q의 진릿값이 모두 참(T)일 때 참(T) 되고 아니면 거짓(F)이 되는 명제 p q p∧q T T T T F F F T F F F F 논리합(OR : p∨q, p | q) p, q의 진릿값 중 하나만 참(T)이여도 참(T) 되고 아니면 거짓(F)이 되는 명제 p q p∨q T T T T F ..

MellowHoney
'논리'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