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블록체인/Klaytn

5장 - 블록체인의 비교

Public vs. Private Disclaimer : this is a subjective matter 퍼블릭과 프라이빗의 구분은 블록체인에 다음을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 결정 : 누구든지 기록된 정보(블록)를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지? 명시적인 등록 또는 자격취득 없이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할 수 있는지? 블록체인의 정보가 공개되어 있고 네트워크가 정한 기준(e.g., gas fee)에 따라 정보를 기록요청할 수 있다면 그 블록체인은 퍼블릭/공개형이라 한다. 이와 반대로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고 미리 자격을 득한 사용자만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그 블록체인은 프라이빗/비공개형이라 한다. Permissionless vs. Permissioned Disclaimer : this is ..

블록체인/Klaytn

2장 - 블록, 블록헤더, 해시포인터

데이터가 위치한 메모리의 주소를 포인터하게 되어있다. 링크드리스트랑 비슷한 느낌. 블록이 존재하면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그 블록의 해쉬을 찾는다. 블록체인은 동일한 데이터가 반복되기 어렵다. 블록체인은 뒤의 블록이 앞의 블록의 해쉬값을 기억한다. 헤더는 블록을 설명하는 정보와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함 헤더 + 바디는 블록 헤더 : 바디를 설명 바디 : 정보의 묶음, 데이터에 대한 설명 이전 블록의 해시(hash pointer)를 가지기 때문에 어떤 블록이 앞에 와야하는지 결정적으로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블록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헤더는 바디 설명 헤더 + 바디 = 블록 헤더에 이전블록 해시값을 기억한다. 블록 높이, 블록 생성 주기 블록 높이 : 블록의 순서를 그 블록이 위치한 높이(block..

블록체인/자기주권 신원증명 구조 분석서

SSI

SSI(Self-Sovereign Identity, 자기 주권 신원증명) ID 기술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블록체인 분산원장(Distributed Leger) 블록체인을 탈중앙화된 시스템으로 만들어주는 핵심 기술 거래 기록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원장)를 중앙화된 서버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동일한 원장을 소유하고 관리하는 기술 불가분성의 특성 : 모든 정보가 암호화되어 Append-Onley 방식으로 원장 저장 - 수정 불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스마트 계약) 분산 원장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불러옴. 분산 애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 :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

블록체인/Klaytn

1장 - 블록체인의 정의와 구성, 해시함수

블록체인 정보를 블록이라고 하는 단위로 저장하여 저장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묶은 저장 기술 해시함수 (Hash Function)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 { 해시, 해시 값, 해시 코드 } =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 데이터를 X, 해시함수를 H라고 표기할 때 해시를 H(X)로 표기 산업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해시 함수는 SHA-2 (e.g., SHA-256), SHA-3 (e.g., Keccak) 💡 MD5(Message-Digest algorithm 5)와 SHA의 차이 속도 MD5 보안성 SHA MD5는 값이 중복되는 "Collision" 문제도 나타나기 때문에 SHA를 권장하는 추세 SHA(Secure Hash Algorithm)-256 임의의 길이 메시..

블록체인/자기주권 신원증명 구조 분석서

ID인증

구성요소 식별자 : ID 사용자 식별 속성 : ID 사용자 특징 확인 인증 수단 : ID 소유권 확인 발행인 : ID 발행인 확인 SSO(Single Sign On, 통합 로그인) IdP(Identity Provider) 웹 사이트의 회원정보를 이용하여 RP(Relying Party) 웹사이트로 회원 가입 혹은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 ex) IdP : 구글 RP : 익스피디아 프로토콜 OAuth(Open Authorization)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JWT(Json Web Token) 디지털 인증서 대칭키 동일한 키를 사용해서 암/복호화 수행 비대칭키 비밀키, 공개키라 불리는 서로 다른 키 쌍을 사용해서 암/복호화 수행 비밀키로 암호화를 수행하면 데이..

MellowHoney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