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위치한 메모리의 주소를 포인터하게 되어있다. 링크드리스트랑 비슷한 느낌. 블록이 존재하면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그 블록의 해쉬을 찾는다. 블록체인은 동일한 데이터가 반복되기 어렵다. 블록체인은 뒤의 블록이 앞의 블록의 해쉬값을 기억한다. 헤더는 블록을 설명하는 정보와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함 헤더 + 바디는 블록 헤더 : 바디를 설명 바디 : 정보의 묶음, 데이터에 대한 설명 이전 블록의 해시(hash pointer)를 가지기 때문에 어떤 블록이 앞에 와야하는지 결정적으로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블록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헤더는 바디 설명 헤더 + 바디 = 블록 헤더에 이전블록 해시값을 기억한다. 블록 높이, 블록 생성 주기 블록 높이 : 블록의 순서를 그 블록이 위치한 높이(block..
블록체인 정보를 블록이라고 하는 단위로 저장하여 저장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묶은 저장 기술 해시함수 (Hash Function)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 { 해시, 해시 값, 해시 코드 } =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 데이터를 X, 해시함수를 H라고 표기할 때 해시를 H(X)로 표기 산업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해시 함수는 SHA-2 (e.g., SHA-256), SHA-3 (e.g., Keccak) 💡 MD5(Message-Digest algorithm 5)와 SHA의 차이 속도 MD5 보안성 SHA MD5는 값이 중복되는 "Collision" 문제도 나타나기 때문에 SHA를 권장하는 추세 SHA(Secure Hash Algorithm)-256 임의의 길이 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