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Klaytn
1장 - 블록체인의 정의와 구성, 해시함수
블록체인 정보를 블록이라고 하는 단위로 저장하여 저장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묶은 저장 기술 해시함수 (Hash Function)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 { 해시, 해시 값, 해시 코드 } =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 데이터를 X, 해시함수를 H라고 표기할 때 해시를 H(X)로 표기 산업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해시 함수는 SHA-2 (e.g., SHA-256), SHA-3 (e.g., Keccak) 💡 MD5(Message-Digest algorithm 5)와 SHA의 차이 속도 MD5 보안성 SHA MD5는 값이 중복되는 "Collision" 문제도 나타나기 때문에 SHA를 권장하는 추세 SHA(Secure Hash Algorithm)-256 임의의 길이 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