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언어/CSS

display

설명 🔖 화면에 어떻게 드러나게 할지를 결정하는 속성 요소 크기를 어떻게 결정할것인가 속성값 속성값 설명 none 노출되지 않게 설정 block 가로 한 블록 전체를 사용 inline 컨텐츠를 감쌀 정도의 크기 inline-block 기본적으로 inline, 임의로 크기 변경 가능 none 화면에서 사라지고 크기 자체도 차지하지 않음. block (default) width가 자신의 컨테이너의 100% 가로 한 줄을 다 차지 inline 컨텐츠를 딱 감쌀정도의 크기 block태그와 다르게 줄바꿈이 되지 않고, 반드시 컨텐츠를 감싸게 되고, 크기를 변화시킬 수 없음 inline-block inline과 block의 특성을 합쳐놓은 속성 inline의 속성을 지니고 있지만, 임의로 크기를 바꿔줄 수 있음.

언어/JavaScript Deepdive

24장 : 배열

배열이란? 배열 --> 여러 개의 값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구조 사실 배열이라는 타입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객체 타입임. 배열이 가지고 있는 값 : 요소(element) - javascript의 모든 값은 배열의 요소가 될 수 있음. 배열에서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0 이상의 정수: 인덱스 --> 배열 접근시 대괄호 표기법을 이용해 인덱스를 지정하여 접근 배열의 길이를 나타내는 프로퍼티: length 프로퍼티 구분 객체 배열 구조 프로퍼티 키와 프로퍼티 값 인덱스와 요소 값의 참조 프로퍼티 키 인덱스 값의 순서 X O length 프로퍼티 X O 값의 순서와 length 프로퍼티는 배열이 반복문을 통해 순차적으로 값에 접근하기 적합한 자료구조로 만들어줌 자바스크립트 배열은 배열이 아니다 밀집 배열 : 일..

언어/JavaScript Deepdive

23장 : ES6 함수 추가 기능

함수의 구분 ES6 이전의 함수는 동일한 함수라도 다양한 형태로 호출할 수 있었다. var foo = function () { return 1; }; // 일반함수 foo(); // 1 //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 new foo(); // foo {} // 메서드로서 호출 var obj = { foo: foo }; obj.foo(); // 1 ES6 이전의 모든 함수는 일반 함수로서 호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생성자 함수로서 호출 가능 ES6 이전에 일반적으로 메서드라고 부르던 객체에 바인딩된 함수도 callable이면서 constructor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형태로 호출할 수 있었다. --> 콜백함수도 마찬가지 그러나 위와 같이 함수를 여러 형태로 호출하게 되면 실수를 유발하고 성능상에도 좋지 않다. ..

언어/JavaScript Deepdive

22장 : 클래스

클래스 == 새로운 객체 생성 매커니즘의 “함수” 클래스와 생성자 함수의 차이 클래스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하면 에러가 발생 생성자 함수는 new 없이 호출해도 일반 함수로 호출됨 클래스는 상속을 지원하는 extends와 super 키워드를 제공 클래스는 let과 const처럼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 처럼 동작 클래스 내의 모든 코드에는 암묵적으로 strict mode가 지정되어 실행되면 해제 불가 클래스의 constructor, 프로토타입 메서드, 정적 메서드는 모두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환경[[Enumerable]] 값이 모두 false === 열거 안됌. 클래스를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 생성 패턴의 단순한 문법적 설탕이라고 보기보다는 새로운 객체 생성의 메커니즘으로 보는 것이 좀 더 합당 클래..

언어/JavaScript Deepdive

21장 : 클로저

클로저(Closure) 💡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 외부 함수의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내부 함수 = 중첩 함수 ex) const x = 1; function outerFunc() { const x = 10; function innerFunc() { // 클로저 console.log(x); // 10 } innerFunc(); } outerFunc();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 innerFunc함수는 outerFunc의 렉시컬 환경을 참조하여 x변수의 값을 참조 이는 자바스크립트가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가능 --> 함수가 어디서 정의 되었는 지를 기반으로 상위 스코프 결정. 렉시컬 스코프**(정적 스코프)** JS엔진이 함수를 어디에 정의(호출X)했는지에 따라 상위 ..

언어/Python

내장함수

len = 리스트 원소의 갯수 a = [1, 2, 3, 4] len(a) # 리스트 원소의 개수 출력. 4 for i in range(len(a)): print(a[i]) for x in a: print(x) sum(객체) = 모든 원소 합 result = sum([7, 3, 2]) print(result) // 12 min/max(2개 이상 파람) = 가장 작은 값/가장 큰 값 result = max(7, 3, 5, 2) print(result) // 7 result = min(7, 3, 5, 2) print(result) // 2 eval(수식 형태의 문자열) : 수식 결과 반환 result = eval("(3 + 5) * 7) print(result) // 56 sorted(iterable 객체, ..

언어/Nest.js

Nest.js Dockerize

Dockerfile 설정 # lts-alpine 버전으로 노드 이미지 설정 - 별칭은 development FROM node:lts-alpine As development # 작업디렉터리 설정 WORKDIR /app # package*.json 파일들을 복사 COPY package*.json ./ # develop이미지에 package 설치 RUN npm install --only=development # 모든파일 복사 COPY . . # 빌드 RUN npm run build # lts-alpine 버전으로 노드 이미지 설정 - 별칭은 production FROM node:lts-alpine as production # 변수선언 -> 환경변수설정 ARG NODE_ENV=production ENV NODE..

언어/Nest.js

TypeORM - 셋팅

1. Nestjs 프로젝트 생성 nest new typeorm2023 2. TypeORM 관련 패키지 설치 npm install --save @nestjs/typeorm typeorm mysql2 3. root 폴더에 orm.config.ts 추가 (수정필요) import { TypeOrmModuleOptions } from "@nestjs/typeorm"; function ormConfig(): TypeOrmModuleOptions { const commonConf = { SYNCRONIZE: false, ENTITIES: [__dirname + '/domain/*{.ts,.js}'], MIGRATIONS: [__dirname + '/migrations/**/*{.ts,.js}'], MIGRATIONS..

MellowHoney
'언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