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ayer 7 : 응용 계층
역할
통신하는 각 서비스의 기능과 특징을 구현한 계층
기본 아키텍처
- Clent Server 방식
- Peer to Peer 방식
프로토콜
- html 문서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 HTTP, HTTPS(HTTP+SSL)
- 파일을 공유 : FTP
- 메일 송신 : SMTP
- 원격제어 : TELNET, SSH(암호화)
- 도메인 이름을 해석하기 위한 프로토콜 : DNS
- 시간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프로토콜 : NTP
- 구성요소 : 각 프로토콜별 프로그램
- 프로토콜 : DHCP, DNS, FTP, HTTP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은 다른 계층과는 다른 역할에 초점을 둔다. 응용 계층의 하부 계층들은 신뢰성을 중요시하여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응용 계층은 하부 계층들을 통해 유저에게 편리한 응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응용 계층은 기본적인 기능으로 사용자나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제공자원(Resource) 결정하고 구문 확인 등의 기능과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 간의 인터페이스,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응용 기능 제공한다.
응용 계층에서는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목적지(서버)가 이해할 수 있는 메세지(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송 계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데이터가 송신되기 위해서는 응용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응용 계층은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 및 파일 접근, 전송 및 관리, 메일 서비스, 디렉토리 서비스의 역할을 수행한다. 응용 계층의 서비스 방식에는 반복 서비스 방식과 동시성 서비스 방식이 존재한다.
- 반복 서비스 방식은 서버 하나가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지원하지만 특정 시간에는 클라이언트 하나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이다.
- 동시성 서비스 방식은 클라이언트 요청이 발생할 때마다 서버의 하위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요청을 수행한다.
반응형
'보안 기초 > 인터넷 프로토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5,6계층 (세션, 표현) (0) | 2021.09.27 |
---|---|
OSI 3,4계층 (네트워크, 전송) (0) | 2021.09.27 |
OSI 1,2계층(물리, 데이터링크) (0) | 2021.09.27 |
OSI 7계층 정의 (0) | 2021.09.27 |